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6

미얀마 에너지 현황 및 에너지원 검토 1. 미얀마 현황 및 단기적 미래 예상 미얀마는 현재까지도 육상에서는 소량이긴 하나 원유가 생산되고, 소규모의 가스전이 존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전은 오래되어 depletion 단계에 이르렀고, 가스전 역시 대부분의 가스를 육상이 아닌 해상에서 생산/조달하고 있다.미얀마 전체 가스 생산량이 1,800~1,900 MMscfd 정도 되는데, 그 중에 500mmscfd 정도만 미얀마 내수로 사용이 되고, 나머지는 중국/태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Andaman Sea에 위치한 Yadana, Yetagun, Zawtika의 가스는 태국으로 수출하고, Bay of Bengal에 위치한 Shwe 가스는 중국으로 수출한다. 이렇게 천연가스는 미얀마 정부의 주요한 달러 수입원으로 정부 재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 2025. 2. 23.
해외 제조기업들의 에너지 가동 현장 상황과 환경 과제 1. 베트남 제조업체들의 에너지 가동 현장 베트남은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에서 투자를 하고 생산공장들을 갖추고 있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현재 미중 갈등이 격화되면서 더 많은 기업들이 베트남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에너지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고, 또한 심각하게 환경 문제를 생각하고 있는 나라 입니다. 베트남은 젊은 인력들이 풍부하고, 다른 아세안국가에 비해서 성실한 인재가 많은 나라입니다. 물론 한국, 일본,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 비해 인건비가 저렴합니다.많은 기업들이 베트남에 진출하고 있어 인건비는 점차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그래도 아직 저렴하니까 경쟁력이 있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에너지는 항상 고민이 되는 부분입니다.어느 나라든지 에너지 비용은 거의 비슷하니까...어느나라든.. 2025.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