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사" 조림 사업 계획

by newenergy 2025. 2. 23.

조림사업은 나무를 심고 숲을 가꾸는 활동을 말합니다. 이는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산림 자원을 증진시키며, 기후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중 "A"가 관심있게 보는 영역은 기후 변화 완화, 산림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기후 변화를 완화시키는 부분입니다.

 

1. 조림사업의 수익창출 계획

"A"가 기획하는 조림사업을 통한 주요 수익 창출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목재 생산: 조림된 나무는 목재로 사용가능. 건축, 가구, 종이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수요가 높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익 창출 가능

¡  탄소 크레딧: 조림사업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탄소 크레딧을 생성. 이러한 탄소 크레딧은 탄소 배출을 줄이려는 기업들에게 판매할 수 있어 추가적인 수익 창출가능

¡  벌목 후 재조림: 나무를 벌목한 후 다시 심어 재조림하는 방식으로 지속 가능한 수익 모델을 만들 수 있음.

 

2. 수익모델 방법

무엇보다도, 조림사업을 통한 탄소 크레딧으로 수익모델을 만드는 방법을 다음과 같습니다.

1)      프로젝트 계획 및 설계

    목표 설정: 탄소 크레딧을 생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 설정

    부지 선정: 조림할 적합한 부지를 선정. 이 부지는 주로 황폐지나 사용되지 않는 토지가 될 수 있음.

    종자 및 식재 방법 결정: 지역 기후와 토양 조건에 적합한 나무 종자를 선택하고, 효율적인 식재 방법을 결정.

2)      프로젝트 등록

     인증 기관 선택: Verified Carbon Standard (VCS), Gold Standard, Climate Action Reserve 등과 같은 국제 인증 기관을 선택

     프로젝트 등록: 선택한 인증 기관에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필요한 문서, 즉 프로젝트 계획서, 환경 영향 평가서 등 제출

3)      탄소 크레딧 생성

     나무 심기 및 관리: 계획에 따라 나무를 심고, 주기적으로 나무 관리.

     모니터링 및 보고: 조림지의 탄소 흡수량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보고.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5년에서 10년 주기로 이루어짐.

4)      탄소 크레딧 인증

     검증: 독립적인 검증 기관이 프로젝트 현장을 방문하여 보고된 탄소 흡수량을 검증

     인증서 발급: 검증이 완료되면, 인증기관에서 탄소 크레딧을 발급받음.

5)      탄소 크레딧 판매

     시장 조사: 탄소 크레딧을 구매할 잠재 고객(기업, 정부, 비영리 단체 등) 조사

     판매 계약 체결: 구매자와 탄소 크레딧 판매 계약 체결. 이 계약에는 가격, 판매량, 거래 조건 등이 포함시킴.

     거래: 탄소 크레딧을 거래소나 직접 거래를 통해 판매 가능 탄소 크레딧 거래소로는 European Energy Exchange (EEX), Chicago Climate Exchange (CCX) 등이 있음.

6)      지속적인 관리 및 보고

     후속 관리: 조림지의 나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추가적인 탄소 흡수량을 모니터링.

     정기 보고: 정기적으로 탄소 흡수량을 보고하고, 추가적인 탄소 크레딧을 인증 받음

7)      추가 고려 사항

     법률 및 규제: 지역 및 국가의 법률과 규제를 준수해야함.

     커뮤니티 참여: 지역 주민과 협력하여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지역 사회의 지지를 얻어야함(중요 포인트)

 

이러한 단계를 통해 "A"는 조림사업을 통해 탄소 크레딧을 생성하고, 이를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계획입니다.

 

 

3. A사”의 조림사업 계획안

"A"는 베트남 조림사업을 통해 탄소 크레딧을 생성하고자 합니다.

 

1)      탄소 흡수량 목표 : "A"가 베트남 조림사업을 통해 특정기간 얼마나 많은 탄소를 흡수 할 것인지 목표 설정 필요 (예로, 10년 동안 1,000톤의 이산화탄소(CO2)를 흡수 목표)

2)      나무 심기 목표 : 베트남 현지에 심을 나무의 종류와 수에 대한 목표 설정 (예로, 5만 그루의 나무를 심고, 그 중 70%는 소나무, 30%는 참나무)

3)      생존율 목표: 심은 나무의 생존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목표를 설정(예를, 심은 나무의 90% 이상이 첫 5년 동안 생존)

4)      모니터링 및 보고 목표: 탄소 흡수량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보고하는 목표 설정(예를, 매년 탄소 흡수량을 측정하고, 5년마다 검증 보고서를 제출

5)      사회적 및 환경적 목표: "A"가 베트남 조림사업이 지역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목표로 설정 (예를, 지역 주민에게 50개의 일자리를 제공, 지역 생물 다양성을 20%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