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농업 부산물 #바이오매스 #난방비 절감 #cer #농업용 에너지 #면세유 #농업용 전기 #온실가스 감축 #펠릿 #기후변화 #기후위기 #농업 부산물 #농업부산물 자원 #온실가스 #온실가스 감축 #온실가스 감축사업1 한국형 글로벌 바이오매스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혁신 (2) 한국형 글로벌 바이오매스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혁신 (2)농업용 에너지를 위한 업사이클 방안 1. 국내 농업용 에너지 (난방) 실정10년 전과 마찬가지로 올겨울도 면세유 가격과 전기요금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시설농가들은 난방비 부담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아마 5년 뒤 겨울에도 비슷하지 않을까요? 정부는 유가연동보조금과 고효율 냉난방 설비 지원 등을 대책으로 제시했지만 한시적·제한적인 방편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국내 시설원예 면적은 약 35,214헥타르이며, 이 중 약 20,355헥타르에서 난방 설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전체 시설농가의 비용 중 40% 정도가 난방비용이라고 합니다. 난방 설비는 주로 유류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전체 난방 면적의 약 80.6%가 유류 기반입니다. 다음으로 농업.. 2025. 3.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