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 부산물을 연료로 하는 바이오매스 펠릿 중 축분펠릿(우분펠릿)의 연소 테스트 결과와 문제점, 개선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향상된 사업화 구조를 생성하고 개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추진중인 보다 향상된 사업화 구조입니다.
향상된 바이오매스 에너지 지도 사업화 구조
1. 연료로서의 축분펠릿 제품 품질 개선
- 함수율 관리: 축분펠릿의 함수율을 10% 이하(최대 13% 이하로 유지)로 유지하여 착화 및 점화를 안정적으로 진행되게 할 수 있고, 높은 함수율로 인한 자체 열량의 감소 방지와 에너지 효율 저하 방지가 이루어 지도록 하여 연소 효율을 높이고, 불완전 연소로 인한 환경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입니다.
- 혼합 비율 최적화: 목재펠릿과의 혼소 비율을 50:50으로 유지하여 연소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후 적정한 혼합 비율을 사용처의 환경에 맞게 구성할 것입니다..
2. 바이오매스 연료 R&D 강화
- 농림축산 부산물 R&D: 축분과 혼합하는 수많은 종류의 농림축산부산물에 대하여 R&D를 통한 다양한 연료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솔루션을 구축한다. 이를 통하여 수많은 버려지는 Waste를 Energy로 재생하는 플랫폼을 이 R&D를 통해서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입니다.
- 수백가지 이상의 농림축산 부산물을 소재로한 R&D: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에 따른 작물들과 사계절 끊임없이 발생하는 부산물 등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농림축산 부산물이 있습니다. 현재는 말 그대로 대부분 Waste이거나 잘 활용해봤자 퇴비 정도인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 국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농림축산 부산물을 바이오매스 펠릿 연료로 만들어 현장 테스트 베드에서 다양한 연료를 에너지화하는데에 발생하는 문제점이 없는지 보다 강력한 현장 적용을 가능하게하여, 실제 가용 가능한 농림축산 부산물을 선별합니다.
- 특화된 R&D를 통한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다양성을 실증하고 세계 일류의 전문성을 가진 농림축산 부산물 및 농림축산 가공 제품 기업에서 발생하는 부산물까지 포괄하는 세계 “바이오매스 에너지 지도”를 형성하게 됩니다. “바이오매스 에너지 지도”는 농림축산 부산물과 농림축산 가공식품 기업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특성과 그 특성을 살린 바이오매스 연료 특성을 상세 기술한 연료의 기술자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이 수백종류의 개별 바이오매스 연료를 연소하여 에너지로 전환하는데에 따른 연소와 대기환경 분석, 물리, 화학적인 특성들을 망라하여 세밀하게 연소 테스트와 현장 적용에 따른 결과론적인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됩니다.
- 이 특화된 R&D 센터와 테스트베드, 적요되는 현장들의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국내 지역 및 세계 각 지역별 발생하는 수많은 동종의 부산물들을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 구축 후 “세계 바이오매스 에너지 지도”를 메타버스화 하여 세계적인 바이오매스 에너지 기술을 구축하고 선도할 수 있습니다.
- “국내 바이오매스 에너지 지도”와 “세계 바이오매스 에너지 지도”를 통해서 기후변화 체계를 융합하여 바이오매스 연료 기술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온실가스 저감되는 에너지를 접목하고, 이를 통한 국내 및 세계적인 탄소배출권의 수치와 데이터를 일목요연하게 세계인들이 알고 참여할 수 있도록 구축할 것이다.
3. R&D 센터와 실증 베드 필수 조건
- 연료로서의 축분 및 바이오매스 부산물 펠릿 제품 품질 개선: 함수율 개선을 위한 건조공정 강화는 가장 낮은 비용을 통한 에너지 단가 최소화 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각종 물류 시스템의 표준화가 이루어 지도록 해야한다. 또한 다양한 바이오매스의 특성을 최대한 활성화하여 전소 및 적절한 혼소비율을 정하여 에너지화 시스템을 명확하게 구축하는 바이오매스 부산물 연료 연소 바이블 구축이 필수이다. 이는 수많은 종류의 농림축산부산물에 대하여 R&D를 통한 다양한 연료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솔루션을 구축을 통해서 정립됩니다. 따라서 결론적인 본 사업 진행은 수많은 버려지는 Waste를 Energy로 재생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추진됩니다.
- 연소 특화 및 에너지화 시스템의 지속적인 분류와 개발: 연료화된 각종 부산물들이 다양한 연소 시스템에서 제각기 틀린 효과를 발생할 수 있으며, 보다 최적의 에너지화 기술이 지속적으로 적용되어야 됩니다. 현재 완전연소 시스템에서 가용될 수 있는 부산물 연료군을 특화하고, 다른 연소 시스템으로 에너지화 되어야 하는 부산물들에 대해서 최적화된 연소 및 에너지화 기술을 적용하여 세계 자원을 가장 이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에 현재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연소 시스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적용할것입니다.
- 환경 오염물질 관리 시스템 구축: O2, CO, NO, NO2, NOx, SOx 등을 측정하여 환경 오염물질 배출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미세먼지(PM10, PM2.5) 필터 시스템 도입: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 다이옥신 및 타르 발생 방지: 고온 연소를 유지하여 다이옥신 및 타르 발생을 최소화 등을 통한 지속적인 친환경을 적용하고 친환경 운영이 되지않는 부산물 연료는 다시 피드백하여 연료 R&D를 기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4. 사업모델 확장
- 산업용 보일러 시장 공략: “바이오매스 에너지 지도”내의 지역 산업체들의 산업용 보일러 및 에너지 수요처에 축분펠릿을 적용하여 대규모 열 생산 시장에 진출가능합니다.(산업단지, 발전소, 에너지 수요 기업 등에 바이오매스 에너지 공급)
- 농촌 지역 에너지 자립 프로젝트: 농촌 지역에서 지역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펠릿을 활용한 지역 에너지 자립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 친환경 에너지 프로젝트: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바이오매스 정책과 연계하여 친환경 에너지 프로젝트 참여하며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재생 가능 에너지원으로 활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