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350톤의 LPG 가스를 연료로 스팀보일러를 사용하고 있는 "B업체"에 "A사"가 투자하여 바이오매스를 연료로 에너지를 공급하기로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경우 발생 가능한 탄소배출권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탄소배출권 과정 및 발생량 추정
A사가 B업체에 바이오매스 기반의 에너지를를 공급하게 되는 경우, 기존의 LPG(화석연료)를 대체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게 되므로 탄소배출권(Carbon Credit)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탄소배출권을 창출하는 방식은 주로 SDM(지속가능개발체제), VCS(Verified Carbon Standard), Gold Standard 등의 국제/국내 인증 체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 시나리오
- 기존: B업체가 월 350톤의 LPG를 스팀보일러 연료로 사용함
- 변경 후: A사가 바이오매스를 연료로 스팀을 생산하여 B업체에 공급
- 결과: 기존의 화석연료(LPG) 대비 온실가스 감축 효과 발생
- 가능성: 이 감축분을 기반으로 탄소배출권을 인증 및 발급 가능
2. 탄소배출권 창출의 핵심 요건
- Baseline 설정:
- 프로젝트 시나리오 설정:
- 배출감축량 계산:
- 추가성(Additionality) 증명:
- MRV (Monitoring, Reporting, Verification)
3. 탄소배출권 양 산정 예시 (단순 계산)
- LPG 1톤 연소 시 CO₂ 약 3.0톤 배출
- 연간 사용량 = 350톤/월 × 12개월 = 4,200톤/년
- 연간 CO₂ 배출 = 4,200톤 × 3.0 = 12,600톤 CO₂/년
- 바이오매스 사용 시, CO₂ 배출은 0 또는 아주 미미
- 결과적으로 연간 약 12,000톤 수준의 감축량이 발생할 수 있음
- 이를 기반으로 **탄소배출권(CERs 혹은 VERs)**으로 발급 가능
4. A사와 B사의 배출권 귀속
- 탄소배출권의 귀속은 계약서에서 명시되어야 하며,
- 바이오매스 설비 및 운영 주체가 A사인 경우, 일반적으로 A사가 배출권을 보유
- B사는 스팀을 공급받음으로써 간접적 수혜를 받음 (Scope 2/3 감축 가능)
5. 국내 제도 활용 (K-ETS 등)
- 한국형 상쇄제도(K-OC) 또는 외부사업 등록제도를 통해 등록할 수 있으며,
- K-ETS에 참여 중인 배출권 의무 업체라면 감축량을 거래 가능한 “KCU(Korean Credit Unit)”로 전환 가능
6. 고려사항
- 바이오매스의 원산지와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요건 충족 필요
- 인증 절차는 6개월~1년 이상 소요될 수 있음
- 초기 투자비, MRV 비용 등을 고려해 사업성 판단 필요
🔍 요약
항목 | 내용 |
대상 | LPG → 바이오매스 전환을 통한 스팀 공급 |
연료 감축량 | 약 12,600톤 CO₂/년 |
배출권 종류 | VER, CER, KOC 등 |
인증 방식 | VCS, Gold Standard, K-OC 등 |
배출권 귀속 | 일반적으로 A사 (설비 소유/운영 주체) |
유의사항 | 추가성 증명, 모니터링 체계 구축, 지속가능성 고려 |
2) 이 사업에 맞는 실제 인증 경로(예. VERRA등록방법, 국내제도 등록 절차)
B업체의 LPG 스팀보일러를 A사가 바이오매스로 대체해 스팀을 공급하는 이 사업은 화석연료 대체 프로젝트로서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케이스입니다. 아래에서 해외 인증(VERRA/VCS) 및 국내 제도(K-OC/K-ETS 외부사업) 두 경로를 구체적으로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VERRA (VCS) 국제 인증 절차
“VCS (Verified Carbon Standard)”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탄소배출권 인증 플랫폼입니다.
1. 등록 가능한 방법론 예시:
- VM0018: Fossil Fuel Displacement by Renewable Technologies
- ACM0012: Biomass residues for heat generation (CDM 방식 활용 가능)
2. 절차 요약:
단계 | 설명 |
1. 프로젝트 설계 | 바이오매스 공급 범위, 스팀 공급 방식, 연료 사용량, 장비 구성 등을 정리 |
2. 방법론 선택 | 해당 사업에 맞는 방법론(VM0018 등) 선택 |
3. PDD 작성 | Project Design Document 작성 (기술, 추가성, MRV 포함) |
4. 타사 검증 (Validation) | VVB(검증기관)에게 PDD를 제출하고 현장검증을 받음 |
5. VERRA 등록 | VERRA 플랫폼에 프로젝트 등록 및 승인 |
6. 모니터링 기간 운영 | 감축 실적을 모니터링 (보통 1년 단위) |
7. 검증 및 발급 | 다시 VVB에게 실적을 검증받고, 탄소배출권 발급 (VCU) |
⏱ 예상 기간: 6개월 ~ 1년
💰 비용: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수천만 ~ 수억 원 (컨설팅 + 인증 + 검증 비용)
🔹한국형 제도: 외부사업 → K-OC (Korean Offset Credit)
국내에서 배출권 시장(K-ETS)에 판매 가능한 공식 인증 경로입니다
1. 적용 대상:
- B업체가 K-ETS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참여 업체)인 경우 유리
- 또는 A사가 감축 실적을 KOC로 전환하여 판매도 가능
2. 절차 요약:
단계 | 설명 |
1. 사업 계획 수립 | 감축 방법, 공급범위, 연료 전환 계획 등 문서화 |
2. 사업 등록 신청 | 한국환경공단에 외부사업 등록 신청 |
3. 방법론 적용 | 한국 환경부 고시 방법론 중 적합한 것 적용 (예: 열공급을 위한 바이오매스 전환) |
4. 승인 심사 및 등록 | 타당성 검토 후 외부사업으로 등록 |
5. 모니터링 및 보고 | 실제 감축량에 대해 연 단위 보고 |
6. 검증 및 인증 | 제3자 검증기관의 확인 후 KOC 발급 |
7. KCU 전환 및 거래 | 필요시 KCU (거래용 단위)로 전환하여 판매 가능 |
⏱ 예상 기간: 6개월 이상
💰 비용: 중소형 프로젝트 기준 2천만 ~ 1억 원 예상 (타당성 조사, 컨설팅 포함)
🔹 주요 차이점 요약
구분 | VERRA/VCS | 국내 외부사업 (K-OC) |
대상 | 국제 거래용 탄소배출권 | 국내 배출권 거래제 연계 |
인증기관 | 국제 VVB (SGS, DNV 등) | 국내 지정 검증기관 |
시장성 | VCU → 국제 탄소 시장 | KCU → K-ETS (국내 시장) |
등록비용 | 높음 (수천~수억 원) | 상대적으로 낮음 |
절차 복잡성 | 상대적으로 복잡 | 국내 기준 및 언어 활용 용이 |
🔹 추천 전략
조건 | 추천 인증 경로 |
국제 시장으로의 크레딧 판매를 목표 | VERRA/VCS 등록 |
B업체가 K-ETS 참여업체거나 국내 수요처 있음 | 외부사업 등록 + K-OC/KCU 발급 |
중소형 프로젝트, 초기비용 제약 | 국내 제도부터 접근 후 확대 |
✋ 필요 서류 및 사전 준비 항목
- A사와 B사 간 계약서 (스팀공급 조건, 기간 등)
- 기존 LPG 사용량, 연료 구매 내역
- 바이오매스 공급 계획 (원료 종류, 출처, 운송 방식 등)
- 설비 투자 계획서 (보일러, 배관 등)
- 연간 감축량 추정 보고서 (기초 시뮬레이션)
3) PDD(Project Design Document) 초안(VCS – VERRA 등록) 및 외부사업 등록 초안
1. [PDD 초안 요약 – 영어 기반]
Project Title: Biomass Steam Supply Project for Industrial Fuel Switch in B Company, Republic of Korea
Project Developer: A Company
Location: DaeGu City, Republic of Korea
Baseline Scenario:
B Company currently uses 350 tons/month of LPG to generate process steam using fossil-fuel-fired boilers. This leads to approximately 12,600 tons of CO₂ emissions annually.
Project Scenario:
A Company installs biomass-fired boilers to produce and supply steam to B Company under a steam purchase agreement. Biomass feedstock includes rice husks, woodchips, or sawdust, sourced locally.
GHG Emission Reductions:
Annual emission reductions are estimated at approximately 12,000–13,000 tCO₂e.
Project Start Date: [2025-04-19] (e.g., 2025-01-01)
Crediting Period: 10 years (renewable)
Methodology Applied:
VM0018 – Fossil Fuel Displacement by Renewable Technologies
Additionality Justification:
- No regulatory requirement for biomass switch
- High capital cost and operational complexity
- Verified cost gap between LPG and biomass supply
Monitoring Plan:
- Monthly metering of steam flow
- Biomass consumption measurement (weight & moisture content)
- Emission factors calculation for baseline and project scenarios
Environmental Impact:
No negative local environmental impact anticipated. Reduced local air pollutants due to reduced fossil fuel use.
2. 국내 외부사업 등록 초안(KOC 발급용)
한국환경공단에 등록하기 위한 외부사업 등록신청서 개요입니다.
[외부사업 등록신청서 초안 요약]
1. 사업명: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스팀 공급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사업
2. 사업주체: A사
협력사: B사 (스팀 수요처)
3. 사업위치: 대한민국 대구시 B사 공장 부지
4. 적용방법론:
- [열에너지 공급을 통한 화석연료 대체]
(예: "열에너지 생산 및 공급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방법론" - 환경부 고시 중 선택)
5. 감축 유형: 외부사업 (국내), 프로젝트 유형: 연료 전환(Fuel switch)
6. 사업개요:
- 기존: LPG 350톤/월 사용 → CO₂ 약 12,600톤/년 배출
- 변경: 바이오매스 보일러 설치 후 스팀 공급
- 연간 감축량: 약 12,000 tCO₂e
7. 사업기간: 2025년 1월 ~ 2034년 12월 (10년)
8. 추가성 증명:
- 현지 규제 없음
- 초기 투자비 약 20억 원 소요
- 자발적 실행
9. 모니터링 계획:
- 증기 공급량 측정기록
- 바이오매스 연료 투입 기록 (중량, 수분률 등)
- LPG 사용 시 배출계수 기준 적용
10. 예상 감축량 및 배출권 수량:
- 연간 감축량: 약 12,000톤 CO₂
- 총 10년간 최대 120,000톤
4) 탄소배출권의 시세 적용 및 수익성 분석
1. 시세 기준 (2025년 기준 예상):
시장 | 시세 (USD/톤 CO₂) | 환산 (KRW/톤) |
VCU (VERRA) | 약 5 ~ 8 USD | 약 6,800 ~ 11,000원 |
KCU (국내배출권) | 약 25 ~ 35 USD | 약 33,000 ~ 46,000원 |
1USD = 1,300KRW 기준
2. 수익 시나리오
구분 | 연간 감축량 | 단가 (KRW/톤) | 연간 수익 | 10년 총 수익 |
VCU (국제시장) | 12,000톤 | 8,000원 | 9,600만 원 | 약 9.6억 원 |
KCU (국내시장) | 12,000톤 | 40,000원 | 4.8억 원 | 약 48억 원 |
2026년 이후 탄소배출권 가격 3배 이상 급등 예상
3. 수익성 개요 (예상)
- 투자비: 약 20억 원 (보일러, 설비, 배관, 제어 등 포함)
- 운영비: 연간 3~4억 원 추정 (인건비, 유지보수, 연료 운송 등)
- 배출권 수익: 연간 최대 4.8억 원 (KCU 기준), 2026년 이후 배출권 가격 3배 이상 급등 예상
- ROI: 약 6~8년 내 투자 회수 가능
- 추가 수익: B사로부터 스팀 판매 수익 별도 확보
📎 다음 단계 제안
- 실제 설비 구성 및 예상 감축량 정확화
- B사와의 스팀 공급 계약서 (계약기간, 단가) 확보
- 탄소배출권 개발 전문 컨설팅사(예: KCO, DNV, SGS 등)와 초기 미팅 추진
- 파일럿 모니터링 실시 (1~3개월간)